안녕하세요 HOSUHANI 입니다~!!
오늘은 컴퓨터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 중 한가지를 다루어 볼까 합니다.
컴퓨터를 하다 보면 가장 짜증스러운 일 중의 하나는, 내가 볼때는 변화가 거의 없는데,
갑자기 하던 일이 먹통이 될 때 일 것입니다.
해당 분야에 공부 좀 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사실 해결 방법의 시작을 어디서 부터 해야하는지 조차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네트워크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 잘 되던 연결 기기들이 서로간에 찾지 못하고 에러를 쏟아낼 때, 이것만큼 화가 나는 일이 없죠 ㅜ
그 중에서 제목과 같은 경우도 종종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특히나, 고장등으로 모뎀을 교체하는 과정이나, 이사하고 나서 등등 뭔가 단말기를 건드리고 나니까 인터넷은 되는데 설정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경우는 정말 많죠.
요즘 많이 쓰는 나스의 경우 외부에서 그 이후로 갑자기 접속이 안될 때는 우선 ip를 잘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에서 cmd를 실행시켜서 ipconfig를 쳐보거나, iptime 등 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해서 아이피를 확인해 보았을 때,
192.168.X.X
와 같이 나온다면 (sk 브로드밴드 같은 경우 192.168.55.X 등)으로 보인다면 이는 사설 ip가 할당된 것입니다.
(네이버에서 ip주소를 확인하면 공인IP로 뜸)
주소가 저렇게 나오는 이유는, 쉽게 생각해서 중간에 공유기가 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외부망 >> SK,KT 등 단말기 >> 내 공유기(iptime 등) >> 내 나스, 컴퓨터 등
처럼 외부에서 들어오는 순서가 되는데 중간의 SK나 KT 단말기가 공유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나스에 192.168.x.x 등으로 접속을 시도하니 되질 않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결책은,
1. 중간에 어딘가 위치한 (설치한 것을 직접 봤으면 어디있는지 알 수 있겠죠) 인터넷 회사 단말기를 떼고 직접 내 공유기로 연결해서 랜선을 빼내거나
2. 중간의 회사 단말기를 '허브' 모드로 써야 합니다
1번은 물리적으로 단말을 교체하고 직접 공유기 관리페이지 접속해서 이전처럼 포트포워딩을 해주시고,
2번은 먼저 단말기에 '관리자'로 접속해서 모드를 NAT에서 브리지 또는 허브 모드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관리자로의 접속은 대부분 admin으로 가능하나 회사나 단말에 따라서 관리자번호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의 단말기 회사와 설치 연도에 맞는 검색페이지의 내용으로 접속 시도하면 대부분 가능합니다.
단, 보통 회사에서는 한정적인 인터넷 자원 한계로 인해서 한개의 공인 아이피를 부여하고 거기에서 사설 아이피를 할당하는 경향이므로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저도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그에 맞는 정보를 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BIO MEDICAL & TECH > BIO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공학 공부를 하면서 다시 보는 파이썬과 프로그래밍 (0) | 2019.09.19 |
---|---|
openmediavault 와 오드로이드 조합으로 nas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0) | 2019.09.19 |
도시바 칸비오 어드밴스 2TB 외장하드 (0) | 2018.01.30 |
[책] Make: 3D 프린팅 : 아... ㅜㅜ (0) | 2017.12.27 |
[책] Make: 액션 (0) | 2017.12.26 |